# HTTP: www 접속용 프로토콜 포트 80 단순히 요청한 데이터에 헤더만 붙여서 전달 # SMTP: 메일 송신 프로토콜 포트 25 메일 송신 시 SMTP 서버로 데이터 전송, SMTP 서버가 수신측으로 메일 전송 # POP: 메일 수신 프로토콜 포트 110 메일을 수신해서 전부 다운로드하므로 인터넷에 연결하지 않아도 읽을 수 있지만 여러 컴퓨터에서 사용 어려움 # IMAP: 메일 수신 프로토콜 포트 143 메일 송수신 데이터를 모두 보관하는 서버 # FTP: 파일 전송 프로토콜 제어용 포트 21, 전송용 포트 20 사용자 인증을 통한 권한 제어 가능 . ASCII 모드: 텍스트를 시스템에 맞는 형태로 변환 . 바이너리 모드: 무변환 # SSL: 암호화 프로토콜 공인 인증서를 통한 암호화 통신 수행 ..
Infra/[도서] 그림으로 이해하는 네트워크 용어
# DNS: TCP/IP 네트워크에서 도메인 이름으로 검색해서 ip 주소를 획득하는 서비스 DNS 서버에 도메인 이름 요청 -> 데이터베이스 검색 -> ip주소 리턴 # DHCP: 네트워크 내의 장치에 ip 주소, 서브넷 마스크 자동 생성 # 방화벽: 외부 네트워크와의 통신에서 데이터를 차단하는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# 프록시 서버: 일반적으로 방화벽에서 실행되며 외부와의 통신을 대행 # NAT: 공인 ip와 사설 ip를 변환. 라우터에서 수행. 일대일 변환이므로 동시에 여러 번 통신은 불가능 # 포트포워딩(ip masquerade, NAPT): 공인 ip의 포트 번호에 사설 ip를 매핑하여 변환(일 대 다수의 ip 주소도 가능)
# 모뎀: 아날로그-디지털 신호 변환기 # 리피터: LAN 케이블에서 신호를 더 멀리갈 수 있도록 증폭하는 장치. 허브 # MAC주소: NIC별 할당된 48bit 고유 번호 # 브릿지: 2계층 중계기 . 세그먼트: 송출된 패킷이 도달할 수 있는 범위 . 브릿지: 패킷에서 MAC주소를 분석하여 도달해야 하는 세그먼트에만 패킷을 전송하여 흐름 제어 . (리피터) 허브: 여러 개의 리피터를 star형으로 묶어서 만든 멀티 포트 리피터. 연결된 모든 포트에 데이터 전송 . 스위칭 허브: 실제로 통신이 발생한 포트에만 데이터를 전송하는 멀티 포트 브릿지. MAC 주소 테이블 관리 # 라우터: 3계층 중계기. 서로 다른 네트워크(LAN-LAN 등) 중계 IP 주소를 기반으로 도달해야 하는 라우터에만 패킷 전송. 목..
# 토폴로지 . star형 hub가 고장나면 전체 네트워크 마비 . bus형 terminator: 양 종단에서 끝을 결정하는 장치. 노이즈 방지 collision: bus에서 전송되는 신호와 노드에서 나온 신호의 충돌 . ring형: FDDI, 토큰 링 등 장치 중 한 대라도 고장나면 도중에 패킷이 끊겨 장애 발생 # 통신 방식 . 이더넷: 가장 일반적. star형 > bus형 CSMA/CD: carrier sense라는 collision 방지 로직 사용. 충돌 시 각각 다른 시간 텀으로 재전송 . 토큰 링 토큰 패싱: 송신할 권리를 나타내는 토큰을 이용해 데이터 전송 토큰에 데이터가 없고 본인도 없으면 그대로 전달. 전송할 데이터가 있으면 토큰에 데이터를 추가하여 전달. 자신에게 온 데이터인 경우 데이..